0. 치지직(Chzzk) 소개
치지직(Chzzk)은 네이버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국내 인터넷 방송 산업은 기존의 대형 스트리밍 서비스인 트위치와 아프리카tv, 두 플랫폼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크게 발전해 왔다. 그리고 2024년, 트위치는 한국의 모든 유료 사업을 철수하게 되었고, 그 영향으로 베타 서비스를 진행 중이던 치지직이 기존 트위치 사용자들에게 대안으로써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오늘날 치지직은 국내에서 트위치를 대체하는 주류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치지직의 성공에 있어 어떤 점들이 사용자에게 Selling Point로 작용하였는지, Pain Point는 무엇인지 또 그 개선점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1. 사용자 분석

2024년 모바일인덱스에 의하면 치지직은 서비스 이후 처음으로 기존의 국내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 SOOP(구 아프리카tv)을 처음으로 넘어서머 국내 스트리밍 플랫폼 이용자 수 1위를 차지했다. 월 이용자 수는 250만 명을 돌파하며 이례적인 성장을 보였다.
이는 트위치 코리아의 사업 철수 직후 기존의 대형 플랫폼인 SOOP이 시장을 독점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코리안클릭 데이터에 의하면 치지직의 이용자의 62.3%는 10·20대로, 이용자 대다수가 젊은 연령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 성비는 77:23으로 남성 이용자 수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리하면 치지직은 젊은 세대와 남성이 주 고객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화면 구성 분석
메인 화면
치지직을 처음 실행하면 나오는 메인 화면이다. 현재 스트리밍 중인 방송을 추천해 준다. 강조하고 싶은 정보는 브랜드 컬러로 강조해 가장 먼저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그린은 네이버의 브랜드 컬러이기도 한데, 밝은 민트색을 사용해서 보다 활력 있고 젊은 느낌을 준다. 치지직이라는 브랜드명과 상당히 잘 어울리는 브랜드 컬러인 것 같다.
화면에 나타나는 주요 기능을 전체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1) GNB
- 검색 기능 : 채널, 라이브, 동영상을 검색하거나 최근 시청한 라이브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 수신함 : 주요 소식이나 알림을 확인한다.
- 프로필 : 자신 프로필 정보와 구독 관리, 팔로핑 채널 관리 등 사용자 중심의 주요 기능들을 슬라이드 바로 열람한다.
- 추천 : 추천 라이브 방송을 확인한다.
- 팔로잉 : 내가 팔로잉하는 스트리머들의 방송을 확인한다.
2) 추천 라이브 스트리밍
현재 스트리밍 중인 방송을 추천해 준다.
3) 이벤트 배너
현재 진행 중인 이벤트와 혜택, 주요 소식들을 확인할 수 있다.
4) 특정 키워드 추천
장르나 트렌드, 핫이슈 등 특정 키워드에 맞는 방송을 추천해 준다.
5) Bottom Bar
- 홈 : 메인 화면으로 이동한다.
- 탐색 : 라이브 방송을 인기순이나 추천순, 카테고리 별로 정렬하여 확인할 수 있다.
- e스포츠 : 진행 중인 e스포츠 중계방송이나 커뮤니티, 소식, 대회 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라운지 : 좋아하거나 관심 있는 게임을 라운지로 등록하여 관련 소식들을 접할 수 있다.
방송 시청 화면
현재 스트리밍 중인 방송을 시청하게 되면 나타나는 화면이다. 여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과 크게 다르지 않은 친숙하고 전형적인 UI 구성이다. 사용하는 데 있어 별다른 불편함이나 고민이 들지 않는다.
현재 방송에 설정된 태그를 표시해 줘서 해당 방송의 성질과 특성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태그를 클릭하면 그 태그의 다른 방송들을 표시해 주어,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라이브 방송에 쉽게 도달할 수 있게 한다.
1) 방송 화면 영역
현재 시청 중인 라이브 방송 영상이 출력된다.
- 기기 탐색 : 주변에 연결 가능한 TV 등의 기기를 탐색해 연결해 송출한다.
- 팝업화 : 시청중인 방송 화면을 축소해 팝업으로 띄운다.
- 설정 : 방송 화면의 옵션을 설정한다.
2) 방송 상세 정보 영역
- 태그 : 시청중인 방송의 태그를 확인할 수 있다.
- 팔로우 : 시청중인 방송의 스트리머를 팔로우한다.
- 구독 : 시청중인 방송의 스트리머를 구독한다. (유료 서비스)
3) 채팅 출력 영역
현재 시청중인 라이브 방송 시청자들의 채팅이 출력된다.
4) 채팅 입력 영역
현재 시청중인 라이브 방송의 채팅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3. Selling Point
1) 적극적인 e스포츠 콘텐츠 지원
코로나 팬데믹 이후 늘어났었던 게임 이용자 수는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지만, 반대로 e스포츠의 인기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치지직은 적극적으로 e스포츠 콘텐츠를 지원하고 있으며, 치지직에서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치지직의 e스포츠 페이지를 살펴보면 정말 다양한 기능들이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게임 별로 탭이 나뉘어있고, 그 게임의 e스포츠 중계나 주요 경기 영상들을 시청할 수 있고, 대회 일정이나 e스포츠 리그의 랭킹 현황 등의 정보까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치지직에서는 자체적으로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할 예정일 정도로 e스포츠 서비스에 진심이라는 것이 느껴진다.
2) 최신 트렌드 반영
인터넷 방송은 다양한 형태를 띠지만 그중에서 게임 방송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그리고 그 게임 방송을 보는 시청자들은 대부분 해당 게임을 직접 하는 게이머들의 비중이 꽤 높은데, 게이머들은 대부분 자신이 하는 게임에 대한 이슈나 최신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치지직은 그 점을 잘 반영하고 있다. 게임의 대규모 업데이트나 이벤트 소식 등의 다양한 최신 이슈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최신 트렌드를 기반으로 한 추천은 해당 분야에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용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요소로 보인다.
4. Pain Point
1) 특정 키워드 차단 기능의 부재
추천 기능의 부정적인 점도 존재했다. 관심이 없거나, 원하지 않는 키워드의 방송이 추천되고, 이에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대안이 따로 없다는 점이었다. 해당 키워드의 방송 추천이 상단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싶었지만, 채널의 관심 없음만 등록되고, 키워드에 대한 차단 방법은 따로 존재하지 않았다.
개선 제안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나 태그의 방송이 추천에 노출되지 않게끔 '관심 없음' 등록해 특정 태그를 차단하는 기능을 추가하면 어떨까.
5. 마치며
치지직은 베타 서비스 당시 UXUI적인 측면을 포함해 네이밍이 이상하다거나 각종 부정적인 여론이 많았었다. 그러나 지금은 적극적인 소통으로 많은 부분이 개선되면서 지금의 대표적인 국내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로 자리 잡은 것 같다.
'UXUI 디자인 > 레퍼런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퍼런스 분석 06 - 카카오 웹툰 (0) | 2025.02.16 |
---|---|
레퍼런스 분석 05 - 디스코드 (0) | 2025.02.09 |
레퍼런스 분석 04 - 핀터레스트 (0) | 2025.02.02 |
레퍼런스 분석 02 - 네이버 파파고 (1) | 2025.01.19 |
레퍼런스 분석 01 - 투썸하트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