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8)
레퍼런스 분석 08 - 땡겨요 0. 땡겨요 어플 소개 땡겨요는 신한은행에서 개발 및 운영 중인 배달 어플 서비스이다.땡겨요는 가맹점의 중개수수료를 2%대로 저렴하게 낮추고 정산 수수료를 없애는 등 소상공인들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소비자와 소상공인 모두에게 이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하고 있다.이전에 경기지역화폐 어플을 분석하면서 지역화폐로 결제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어서, 이번에 직접 사용해 보고 분석하게 되었다.1. 사용자 분석 https://www.topdaily.kr/articles/101106 '찻잔 속 태풍이었나' 신한銀 야심작 땡겨요, 아직 시장점유율 1%대지난달 말 MAU 99만명...1년 새 87% 증가 3년째 출시 첫해 목표치 200만명 달성 요원www.topdaily.kr 이번 해 최근 ..
레퍼런스 분석 07 - 경기지역화폐 0. 경기지역화폐 어플 소개  경기지역화폐 앱은 경기도에서 발행하는 지역화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이다.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며, 카드형 지역화폐를 충전하고 결제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경기도민이라면 정부 정책에 따른 지원금 등을 편리하게 수령하고 사용할 수 있는 어플로 직접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어플이고, 작년인 2024년 11월 대대적인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이번 레퍼런스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1. 사용자 분석경기지역화폐는 특정 지역에 맞춰 설계된 만큼, 사용자 층이 비교적 명확하다.경기지역화폐 앱은 월평균 2200만 회 접속 횟수를 유지하며 2024년 9월 기준으로 가..
레퍼런스 분석 06 - 카카오 웹툰 0. 카카오 웹툰 소개  카카오 웹툰은 카카오 엔터테인먼트에서 서비스중인 웹툰 플랫폼이다. 기존의 다음 웹툰에서 카카오웹툰이라는 이름으로 개편되어 2021년부터 지금까지 서비스하고 있다. 나는 웹툰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게된 지는 꽤 오래되었지만, 카카오 웹툰은 서비스 당시 파격적이고 혁신적인 UI로 화제가 됐었지만 기존 사용자 층에게 UX 측면에서 부정적인 평가가 꽤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지금은 상당히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해서 이번에 레퍼런스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1. 사용자 분석  카카오 웹툰은 주로 사회 초년생, 직장인 등 20·30대 비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등의 10대 이용자도 통계상 존재했지만 대부분의 카카오 웹툰 콘텐츠들은 주로 성인 이용자들 위주로 어필하고 있는 것 ..
레퍼런스 분석 05 - 디스코드 0. 디스코드 소개  디스코드는 PC와 모바일에서 지원하는 온라인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이다. 서버를 만들어 자신과 공통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을 초대 혹은 직접 서버에 들어가서 음성, 영상, 텍스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이 가능하다.서버를 만들거나 음성 채팅을 이용하는 데에는 그 어떠한 비용도 청구되지 않으며, 간편한 사용 방법과 우수한 음성 채팅 서비스로 기존의 온라인 메신저 서비스들을 제치고 주류 메신저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디스코드는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이 주로 이용하는데, 나 또한 온라인 게임을 자주 즐기고, 디스코드를 오랜 기간 이용해 왔다. 그래서 이번 레퍼런스 분석 대상으로 선정해 보았다.  1. 사용자 분석앞서 말했듯 디스코드는 게이머들이 주로 이용한다.디스코드의 본래 용도 ..
레퍼런스 분석 04 - 핀터레스트 0. 핀터레스트 소개  핀터레스트(Pinterest)는 2008년 설립된 미국의 이미지 공유형 소셜미디어 서비스이다.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이미지를 나열해 주고, 그중에서 흥미 있는 이미지를 핀(Pin) 해서 저장하고, 그렇게 저장된 이미지들을 보드(Board)에 정리할 수 있다.자신의 보드를 공유하고 댓글을 달며 소통할 수도 있지만 다른 소셜미디어 서비스와는 달리 정보 중심적인 경향이 크다. 이미지에서 레퍼런스나 다양한 영감을 얻기 위해 많은 디자이너들이 사용하고 있는 핀터레스트를 한 번 분석해 보았다.  1. 사용자 분석 핀터레스트에서 공개한 사용자 통계는 다음과 같다.글로벌 사용자층 42%가 Z 세대(1990년대 중/후반~2010년대 초반) 주 사용 이유는 상품·브랜드 관련 정보를 찾기 위해서 사용..
레퍼런스 분석 03 - 치지직 0. 치지직(Chzzk) 소개  치지직(Chzzk)은 네이버에서 운영 중인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국내 인터넷 방송 산업은 기존의 대형 스트리밍 서비스인 트위치와 아프리카tv, 두 플랫폼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크게 발전해 왔다. 그리고 2024년, 트위치는 한국의 모든 유료 사업을 철수하게 되었고, 그 영향으로 베타 서비스를 진행 중이던 치지직이 기존 트위치 사용자들에게 대안으로써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오늘날 치지직은 국내에서 트위치를 대체하는 주류 온라인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치지직의 성공에 있어 어떤 점들이 사용자에게 Selling Point로 작용하였는지, Pain Point는 무엇인지 또 그 개선점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1. 사용자 분석 2024년 모바일인덱스에 의하면 치..
레퍼런스 분석 02 - 네이버 파파고 0. 네이버 파파고 소개  파파고(Papago)는 네이버에서 개발하고 서비스 중인 인공지능 기반 번역기이다. 기본적인 번역 기능부터 웹사이트 번역, 음성 번역, 이미지 번역, 언어 학습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현재까지 총 16개 언어의 번역을 지원하고 있다. 자주 사용하고 있는 번역기 중 하나라 직접 한 번 레퍼런스 분석을 해보았다.  1. 이용자 분석 파파고는 2016년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처음 서비스되어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서비스 이후 기존의 구글번역의 이용자 수를 빠른 속도로 추월했고 지금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번역기로 자리잡았다. 2024년도 연령대·성별 관심도 분석에 의하면 10대에서 25%, 20대에서 33%, 30대에서 21%, 40대 이상이 22%로 주 사용자 연령대는 ..
레퍼런스 분석 01 - 투썸하트 0. 투썸하트 소개  투썸하트는 커피 프랜차이즈 투썸플레이스 공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다. 스탬프 적립, 모바일 주문 서비스 등 편리한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새로 추가된 신상 제품이나 진행 중인 이벤트 등의 프로모션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나는 투썸플레이스 매장을 꾸준히 이용하는 편인데, 주문할 때마다 적립되지 않고 소멸되는 스탬프가 아까워 스탬프 적립 목적으로 자연스럽게 투썸하트 어플을 접하게 되었다. 투썸하트 어플을 직접 사용해 본 입장으로써, 투썸하트의 주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낀 장단점을 분석해 보았다.  1. 홈 화면 맨 처음 어플을 실행시키면 브랜드 컬러로 포인트를 준 디자인에 눈길이 간다. 전반적으로 깔끔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준다. 이벤트 배너로 현재 진행 중인 프로모..